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굴러가기(자동차)701

자동차 크기 인플레이션 자동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국산 현대 기아차 모델들은 점점 커지고 있다. 과거에는 세그먼트 별로 분류 되어서 서로의 영역에서 포지션을 가지고 있었는데 언젠가 부터 신차가 나올때 부터 점점더 차량이 커지면서 이상한 윗급보다 더 좋은 차량이 나오고 있다. 소형차 , 준준형차, 중형차 , 대형차 이런 분류 였는데 이제는 이분류가 다 이상해 젔다. 아반떼 신형만 해도 과거 중형차 였던 EF 쏘나타 보다 더 커젔다. 그래도 세단 급에서는 세단이 가지고 있는 차량의 기본 형태와 어느정도 구성이 틀이 있어서 그냥 차가 커젔네 정도여서 크면 좋치 라는 느낌뿐이 었긴 했다. 그리고 SM5 시절부터 대부분의 세단형 차량은 쓰리박스 형태에서 쿠페형 디자인으로 바뀌어서 지금은 다 디자인형태도 다 비슷해젔다. 그런데 S.. 2022. 9. 25.
타호 , 케딜락 에스컬레이드 포지션 쉐보레 타호가 진짜 출시 되었다. 도로에서 딱 한번 목격 하였다. 지금 판매중인 타호는 하이 컨트리 트림이어서 가격이 상당하다. 그래도 수입되는 물량 거의다가 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타호는 옵션좀 빼고 좀 하위 트림 가지고 와도 될꺼 같긴 한데 , 파는분(쉐보레) 맘이라 어떻게 팔던지 말던지 할꺼고 타호가 판매 되기 시작하면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가 약간 애매해진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대부분 자동차 리뷰에서는 에스컬레이트 차량과 타호 차량이 수요과 다르기 때문에 구매층이 달라서 겹치지 않는다고 하는데 글쌔..어짜피 차량이 같은차량이고 실내 옵션이 좀 다른것 같은데 옵션 정도야 차에서 24 365 살것도 아니고 운행할때 하루 정도 타는정도 인데 옵션 차이 난다고 해서 얼마나 차이 날련지 모르겠다. 타호 실.. 2022. 9. 25.
쉐보레 타이어 공기압 쉐보레는 왜 이러는걸까. 타이어 공기압을 그냥 psi 를 사용하면 되는데 왜 숫자도 복잡한 kpa 를 쓰는걸까. 학교 다닐때 배웠는데 이제는 무슨 단위 인지도 가물가물 하다. 쉐보레는 어짜피 차량용 OS 에서 조정할수 있을껀데 , 그냥 단위 메뉴 까지 만들어 주면 좋은데 , 무언가 인터페이스를 막아 놓은거 같다. 사용자들이 막 바꾸는걸 싫어하나. 그렇겠지 , 대부분 제조회사라면 사용자들이 설정값 바꾸는것을 좋아 할리는 없겠지. 그렇더라도 일반적으로 쓰는 psi 값을 안쓰고 kpa 를 써서 숫자를 복잡하게 해 놓았을까. 얼추 비슷한 범위에 있으면 대충 맞는걸로 해야 겠다. 35psi = 약 244kpa 40psi = 약 275kpa 30psi = 약 206kpa 200 부터 280 언저리에 있으면 적정 타.. 2022. 9. 25.
라세티 프리미엄 , 크루즈 타이어 라세티 프리미어 차량을 한대 가지고 있다. SX 트림의 스틱 차량이다. 09년 식 차량이라 중고로 팔아도 시세도 없고 그냥 저냥 유지 하고 있다. 특별한 고장도 없고 굴러 가는건 지금도 거의 정상이다. 과거 캐피탈 스틱 차량은 뻑하면 정비소 입원 했었는데 , 중고 생마티즈 차도 수리비가 차값 보다 더 들었는데 라세티 차량은 캐피탈 , 마티즈 차량보다 더 오래 운행 하고 있는데도 아무 문제도 없다. 간간히 고질병이 있따고 하는데 딱히 아직은 없다. 이차는 두가지 정도 단점이 있다. 하나는 자동차 보험이 높다는것이고 , 또 하나는 16인치 타이어 가격이 비싸다는것이다. 16인치 타이어 205 60 16 이 들어 가는데 이 사이즈 타이어 가격이 매우 비싸다. 중형차 타이어 가격 금액이 나온다. 차량을 많이 운.. 2022. 9. 21.
반응형